연주기법

일렉기타 피킹하모닉스 연주 위치에 대한 궁금증 정리

동네악사 2025. 4. 15. 10:52

 

 

일렉기타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할 때, 위치에 따라 소리의 높이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은 물리적인 진동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모닉스는 기타줄의 특정 위치에서 손가락을 살짝 대어 진동을 분리함으로써 생성되는 음입니다.

12프렛 하모닉스의 원리

12프렛 하모닉스는 줄의 정확히 중간 지점에서 생성됩니다. 이 위치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하면, 기본음의 1옥타브 높은 소리가 납니다. 이는 줄이 2등분으로 진동하면서 만들어지는 2차 배음 때문입니다.

다른 위치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할 때

12프렛이 아닌 다른 위치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하면, 줄의 진동 패턴이 더 복잡해지며, **다른 배음(하모닉)**이 생성됩니다.

예를 들어:

  • 7프렛: 줄의 1/3 지점으로, 기본음의 1옥타브 + 완전 5도(3차 배음).
  • 5프렛: 줄의 1/4 지점으로, 기본음의 2옥타브(4차 배음).

따라서 12프렛이 아닌 원래 치는 위치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하면, 생성되는 음의 높이는 그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종종 기본음보다 더 높은 소리로 들립니다. 특히, 더 짧은 파장의 배음일수록 음이 더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손가락으로 치는 위치가 중요한 이유

기타줄의 특정 지점에서 하모닉스를 만들어내려면, 그 지점에서 줄의 진동이 최소가 되는 **마디(node)**에 손을 대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하모닉스가 제대로 울리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12프렛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위치에서 연주하면 옥타브나 그 이상의 높은 음이 나올 수 있습니다. 다만, 정확한 소리는 줄의 길이와 손을 대는 위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렉기타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할 때, 일반적으로 브릿지와 넥 사이에서 손가락을 사용해 하모닉스가 생성되는 지점을 찾아 연주합니다. 하지만 "모든 하모닉스"가 반드시 이 범위 내에서만 연주 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하모닉스 생성 원리

하모닉스는 줄의 진동이 특정한 정수비로 나누어질 때 생성됩니다. 줄 전체 길이(L)에서 특정 분수 위치에 손가락을 살짝 대어 마디(node)를 만들면 해당 위치에서 하모닉스가 발생합니다.

  • 1/2 지점: 12프렛 - 기본음의 1옥타브 위.
  • 1/3 지점: 약 7프렛 - 1옥타브 + 완전 5도.
  • 1/4 지점: 약 5프렛 - 2옥타브.
  • 더 높은 배음: 프렛 간격이 점점 더 좁아지며 나타남.

브릿지와 넥 사이에서 연주 가능 이유

  • 대부분의 하모닉스는 줄의 진동 마디가 넥 위나 바로 근처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넥 위의 프렛 부근에서 하모닉스를 찾기 쉽습니다.
  • 브릿지에 가까운 위치에서도 하모닉스를 연주할 수 있지만, 소리가 작거나 뮤트되기 쉽습니다. 왜냐하면 줄의 진동 에너지가 브릿지로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브릿지와 넥 외 다른 위치

기타 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하모닉스가 존재합니다. 넥과 브릿지 사이뿐만 아니라:

  • 픽업 뒷쪽 (브릿지 쪽): 특히 더 짧은 배음들은 브릿지에 가까운 위치에서도 들립니다. 하지만 이 위치에서는 하모닉스의 볼륨이 작거나 잡음에 묻힐 수 있습니다.
  • 넥 너머 헤드스톡 방향: 헤드스톡 뒤쪽 줄에서도 하모닉스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연주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하모닉스 연주의 실제 적용

  • 대부분의 연주는 넥 위에서 이루어집니다. 12, 7, 5프렛 같은 특정 위치는 하모닉스를 내기 쉬운 대표적인 지점입니다.
  • 하지만 하모닉스는 줄의 특정 위치에 의존하므로, 연주하는 음에 따라 다른 지점을 찾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자연 하모닉스 외에도, 인공 하모닉스(Artificial Harmonics)는 손가락과 피크를 함께 사용해 줄의 어떤 위치에서든 생성 가능합니다. 이 방법은 브릿지와 넥 사이가 아니라도 연주할 수 있습니다.

결론

"모든 하모닉스를 브릿지와 넥 사이에서 연주할 수 있나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대부분 그렇다입니다. 하지만 기타줄의 길이와 배음의 위치를 이해하면, 다른 부위에서도 하모닉스를 연주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고급 연주 기술에서는 기타의 넥 이외의 부위에서도 하모닉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일렉기타 연주자들은 **피크 하모닉스(Pinch Harmonics)**를 연주할 때 줄을 넥과 브릿지 사이에서 칩니다. 이는 여러 이유로 가장 효과적입니다:


왜 넥과 브릿지 사이에서 연주하나요?

  1. 하모닉스의 생성 위치
    피크 하모닉스는 줄의 특정 부분을 살짝 눌러 마디(node)를 만들고, 피크(pick)와 손가락의 측면을 동시에 사용해 강하게 스트로크하면서 생성됩니다.
    • 마디는 줄의 진동 길이에 따라 정해지는데, 이는 주로 넥과 브릿지 사이에서 명확히 발생합니다.
    • 이 위치에서 하모닉스를 연주하면 자연스럽게 더 큰 음량과 선명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효과적인 제어
    • 넥과 브릿지 사이의 영역은 손으로 피크를 사용하면서 손가락의 각도를 조절하기 가장 편리합니다.
    • 기타의 픽업이 넥과 브릿지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영역에서 연주하면 하모닉스를 더 잘 증폭시킬 수 있습니다.
  3. 사운드 톤의 다양성
    • 브릿지에 가까운 쪽에서 피크 하모닉스를 연주하면 날카롭고 공격적인 톤이 나옵니다.
    • 넥 쪽에서 연주하면 보다 따뜻하고 부드러운 톤의 하모닉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연주자는 연주 스타일과 곡의 분위기에 맞춰 위치를 선택합니다.

넥과 브릿지 이외의 위치에서 연주할 수 있나요?

물론 가능합니다!

  • 브릿지에 가까운 위치: 고음 배음이 강조되며, 특히 헤비메탈과 하드락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넥 쪽으로 더 가까운 위치: 저음 배음이 강조되고 부드러운 톤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넥과 브릿지 사이를 벗어나면 하모닉스를 제어하기 어려워지고, 소리가 약하거나 흐릿하게 들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피크 하모닉스를 연주할 때 주의할 점

  1. 피크 잡는 법
    • 피크의 끝부분만 사용하고, 손가락(주로 엄지)의 측면을 줄에 살짝 닿게 해야 합니다.
    • 줄의 떨림이 자연스럽게 마디를 생성하도록 각도를 조정합니다.
  2. 위치 탐색
    • 동일한 음을 연주하더라도 줄의 다른 지점에서 하모닉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톤과 음색을 찾기 위해 약간의 실험이 필요합니다.
  3. 게인과 디스토션 사용
    • 일렉기타에서 피크 하모닉스는 디스토션이나 게인이 적당히 들어간 톤에서 더 선명하고 강렬하게 들립니다.

결론

일렉기타 연주자들은 주로 넥과 브릿지 사이에서 피크 하모닉스를 연주합니다. 이는 하모닉스를 생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위치이고, 음색과 톤의 제어가 쉽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다양한 연주 스타일과 표현을 위해 이 범위를 넘어 실험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반응형